그나마 군계일학 마블이 만든 드라마에 어느 정도는 치를 떠는 편인데 제일 처음에 만든 완다비전의 작가가 각본과 메가폰을 잡고 만든 드라마 전부 애거시 짓이야는 그래도 완다비전에 대한 좋은 기억이 있기에 감상을 했고 결로부터 말하자면 완다비전을 제외하면 가장 마음에 들 정도로 흥미로운 드라마라는 점을 소리 높여 이야기하고 싶을 정도로 우려보다는 괜찮았다. 다만, 지금 마블 드라마에 대한 기대치가 거의 바닥인 터라 국내는 당연하고 북미에서도 크게 화제가 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 문제인데 이렇게 되면 후속 시즌은 기대하기가 너무 어려워 보인다. 원래 이런 드라마는 초기 화제서잉 전부인데 초기임에도 화제성이 거의 전무한 수준이어서 디즈니가 마블을 어떻게 망친 건지 참으로 한탄스러울 정도다. 디즈니가 마블을 망친 건 굉장히 유명한 사실이고 나는 이게 근본 원인으로 PC 보다는 지나친 자신감과 과욕을 들고 싶다. 레즈비언 캐릭터나 여성 중심 서사가 문제가 아니라 모든 세계관을 연결시키고 마블 영화를 보던 모든 사람들이 디즈니 플러스에 가입하여 별 필요도 없는 세부적인 이야기를 볼 거라고 착각한 디즈니 임원들이 가장 큰 패착이라는 말이다. 애초에 마블 영화를 완다비전에 기반해서 이해하지 않으면 이야기 연결이 안 되게 만든 것부터가 오만의 상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나는 디즈니 플러스를 통해서 보기는 하였으나 닥터 스트레인지같은 훌륭한 마블 영화를 그렇게 망칠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 해서 조금 당황스러웠다. 당연히 이 즈음부터 마블의 몰락은 시작되었고 코로나와 상관없이 어떻게든 망할 거였기에 코로나를 원인으로 두는 건 너무 치졸한 설명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영화 데드풀과 울버린이 성공하긴 하였으나 이건 마블의 부활이라기 보다는 데드풀의 인기에 편승해서 디즈니가 한 번 성공했다고 보는 게 적확하다고 본다. 정말 마블이 제대로 부활한 건지를 알아 보려면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가 얼마나 흥행하는지가 최대 관건으로 보인다. 이 영화가 만약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