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넷플릭스 드라마 카산드라 후기

 픽팍의 드라마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추천 카산드라 후기] 

애매한 호러 SF 드라마 

애매하다. 

보기에 따라서 즐길 만한 요소가 없는 건 아닌데 

그렇게 좋은 점수를 주려고 해도 생각보다 지루해서 

하품이 나온다. 

과거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다크같은 대작이

더 이상 독일에서는 

나오기 불가능한 것일까. 

다크를 만든 나라가 독일이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최근에 나온 독일 오리지널 드라마들은 거의 다 심심하고 평이한 편이다. 드라마 카산드라 역시 독특한 컨셉의 드라마이길래 어느 정도 기대를 했는데 역시나 뻔한 드라마와 다를 바가 없어서 실망스러웠다. 애초에 독일하면 다크를 만든 나라여서 새로운 신작이 공개가 되면 기대를 하게 만드는데 다크 이후로는 오리지널 드라마 제작 편수도 확연이 줄어 들었고 공개되는 작품들도 크게 임팩트가 없다. 

내가 제일 싫어하는 드라마 중 하나가 뻔한 드라마인데 그래서 나는 오히려 뻔한 이야기임에도 재미있는 드라마를 굉장히 좋아한다. 어떻게 전개될 지 뻔히 보임에도 불구하고 재미있는 건 보통의 내공으로 만들 수 있는 드라마가 아니기 때문이다.  

어떠한 경지에 다다라야지만 가능한 부분인데 이렇게 뻔한 이야기를 재미있게 잘 하는 드라마 작가나 감독들은 사실 별로 없다. 드라마 카산드라는 앞구르기 하면서 대충 봐도 저 로봇 비서가 무슨 큰 일을 저 집안에서 저지를 거라는 게 뻔히 보이는데 나는 화목한 가족이 저 시골 집에 너무나 무방비하게 들어가 있는 거 자체가 조금 이해가 안 가기도 했다. 

아니 처음부터 납득하기 어려웠다.

도저히... 

무슨 독일이 미국도 아니고 저렇게 집만 따로 덩그러니 놓여진 게 흔한 것도 아니고 내가 집을 구입한 입장이라면 집 아래 지하를 다 차지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알아 보고 이사를 결정하지 않았을까. 

그리고 

집을 구입하거나 월세를 내며 살 거라면 집을 미리 한 번 보기 마련인데 집 자체는 무척이나 좋으나 의문의 스마트홈 시스템이 집안 곳곳에 있는 거에 대해서 단 한 번도 의심을 하지 않는다는 게 내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들다. 

적어도 저렇게 로봇 비서가 난리를 치는 가정에 화목한 가정이 들어가야 한다면 왜 이 가족이 저 스마트홈 시스템이 갖추어진 집에서 살 수 밖에 없는지를 적어도 설명은 해줘야 했다. 그런 게 전혀 없이 엄마를 제외한 모든 가족이 이에 대해 전혀 의심을 하지 않는 게 현실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웠다. 

사람들이 그렇게까지 멍청하다는 말인가. 

내가 만약 저 집을 처음에 본 사람이라면 스마트폼 시스템을 전문가에서 검증을 받고 관련해서 사고는 없었는지 조사부터 하고 볼 거 같은데 이 가족은 무식한 건지 멍청한 건지 세상을 너무 꽃밭에서만 살아온 건지 그런 의심이 전혀 없어서 볼수록 이상할 정도다. 정말 아무 생각없이 저 집에 살기로 결심했다면 무슨 일을 당해도 싸다는 생각마저 든다. 

그리고

무슨 배경이 1990년대도 아니고 비서 로봇 역시 디자인이 너무 투박하다 못 해 촌스러울 지경이다. 무슨 사연이 있긴 하겠지만 2025년을 살면서 저 정도로 구린 디자인의 로봇을 봐야 하는 것도 조금 고통스럽다. 

그래도 

다행스럽게도 재미나게 보신 분들도 많아 보이는데 나는 이 부분에서 조금 납득이 안 되어서 재미나게 보기가 힘들었다. 간단히 말해 호러 영화를 보면 주인공들이 귀신의 집에 어떻게든 당도하게 되는데 그러한 과정이 너무 억지스러우면 몰입이 안 된다.

내게는 

드라마 카산드라가 그러했다.

저 가족이 왜 저 집안에서 살아야만 하는지에 대한 설득이 부족하다 보니 이후 이야기 전개도 하나같이 억지스럽다. 아무리 우리가 기본적으로 안전 불감증을 가지고 살아간다고 하지만 저 정도로 로봇을 전혀 의심하지 않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부분인가. 

집안에 무슨 세탁기나 냉장고를 새로 사는 것도 아니고 내 모든 사생활을 지켜보는 로봇이 있는 건데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한 걱정을 아무도 하지 않는다는 것 자체가 너무 비현실적이다. 

아니 그리고

저렇게까지 악의가 가득한 비서 로봇이라니. 

그 자체로 너무 현실감이 없다.

이야기를 위해 소재를 억지로 끌고 온 느낌이라고나 할까. 이런 이야기보다 차라리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로봇의 등장이 훨씬 더 공포스러울 거 같다. 뭐 큰 기대를 한 드라마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재미없고 지루해서 실망스러웠다.

정말 다크같은 걸작은 

다시는 독일에서 나오기 어려운 걸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일본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 후기

타카노 만큼이나 무능한 드라마 인기 만화 원작의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가 2화까지 넷플릭스에서 공개 되었다.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로 1화만 보자 싶었는데 47분 내외의 1화도 다 보기가 곤혹스러웠을 정도로 재미를 찾기가 어려웠다. 보면서 만화 원작인가 싶었는데 역시나 만화 원작이었다. 일본은 만화를 드라마로 옮기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만화에 충실하다가 드라마 자체의 완성도를 말아 먹는 경우가 정말 많은데 이게 방송사나 PD의 문제라기 보다는 원작자의 입김이 강한 일본 만화 업계의 문제라는 생각도 든다.  일본은 원작자의 힘이 강력한 나라 중 하나이기에 만화의 내용을 하나라도 제외하거나 변경하려고 하는 시도 자체가 거의 불가능해서 우리 나라의 영화 감독 봉준호 조차 일본 유명 만화가의 작품을 영화화하는 걸 포기한 전적이 있을 정도인데 영상과 만화는 다르다는 점을 원작자들이 이해해줄 리가 만무하고 어느 정도 표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타협하기가 불가능하기에 지금처럼 이도저도 아닌 작품이 나오게 된 게 아닐까 혼자 상상만 해본다. 정확한 건 내부자들만 알 수 있겠지만 말이다.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는 시종일관 만화 같은 연출을 보여준다. 캐릭터에 대한 묘사와 대사 그리고 연출까지 만화를 그대로 옮긴 듯한 인상이다. 안 좋은 점이라면 이게 긍정적인 효과를 전혀 불러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캐릭터는 단순하고 이야기 전개도 유아적인 수준이기에 차라리 20분 내외의 시트콤처럼 가볍게 저예산으로 만들었어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별 거 없는 이야기를 47분 분량으로 만들다 보니 이야기는 늘어지고 캐릭터의 매력은 사라지고 드라마의 재미도 가라앉는다.  애초에 완성도가 높은 일본 드라마를 찾아보기 힘든 요즘인데 일본 드라마 중에서 볼만한 작품은 방송사 작품이 아니라 넷플릭스나 디즈니 플러스 작품이 오히려 많기는 해서 그 괴리가 너무 크기에 이 정도면 방송사 드라마 작품에 문제가 있는 거 아닌가 라는 생각까지 들 정도다. 최근에 보면서 만...

일본 드라마 사자의 은신처 후기

다소 뻔하지만 볼만한 가족 드라마 일본 드라마를 즐겨 보지는 않으나 좋아하는 배우가 나오거나 극본이 좋으면 보는 편인데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간니발에서 좋은 연기를 보여준 야기라 유야가 주연을 맡은 금요 드라마 사자의 은신처가 넷플릭스에 올라와 있길래 호기심에 감상을 해 보았는데 주말 가족 드라마여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스토리 자체가 좀 평이한 편이어서 크게 만족하지는 못 했다고 할 수 있다.  아직 1화 정도만이 공개 되었는데 무언가 전형적인 가족 드라마같은 느낌이 드는 데다가 이야기가 전개 방식도 조금 식상하긴 해서 크게 재미를 느끼지는 못 했다. 거의 집안의 가장 역할을 하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동생 미치토를 돌보다시피하는 히로토가 결국 라이온을 경찰에 맡기지 못할 거라는 걸 누구나 알 수 있는 부분인데 갑자기 횡단보도에서 포효하며 달려가는 모습은 너무 오버스러워서 헛웃음이 나올 정도였다. 유독 일본에서 대안 가족 소재로 드라마나 영화가 많이 나오는 느낌인데 전통적인 가족이 해체 되는 일본 사회의 현실을 제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일본은 우리 나라보다 출산율이 훨씬 더디게 무너지고 있는데 문제는 출산율 자체가 아니라 아이를 낳으면 안 되는 환경에서 아이를 낳은 부모들이 아이들을 학대하거나 방치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 나라도 정부나 지방 자치 기관에서 제대로 조사를 하지 않아서 그렇지 생각보다 방치되고 학대 당하는 아이들이 분명히 많을 거라고 생각 한다. 보통 아이들은 목소리를 내기가 힘드니 결국 죽거나 심각한 상태가 되어서야 세상에 알려지고는 하는데 그런 면에서 보자면 우리 나라에서 언론이나 영상 매체에서 가출 팸들의 이야기를 다루지 않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할 만하다.  투표권도 없고 나이도 어려서 존재감이 없는 가출 청소년들에 대해 다룰 때에 항상 범죄 관련 이야기로 들어올 수 밖에 없는데 생각해 보면 이런 청소년들은 피해자가 되거나 범죄에 뛰어 들어 가해자가 되거나 둘 중 하나의 길 밖에 남아...

티빙 드라마 스터디그룹 후기

 픽팍의 드라마 리뷰  티빙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추천 스터디그룹 후기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를 보고 나서  바로 시작하게 된 티빙 오리지널 드라마 스터디그룹. 공교롭게도 둘 다 웹툰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다.  그러니  비교를 안 할 수가 없다. 재미 면에서만 본다면 스터디그룹의 압승이다.  다소 거친 느낌이 드는 작품이긴 하지만 이런 게 바로 오리지널의 맛이 아니겠나. 수위나 소재를 생각한다면 전파를 타기 힘들어 보이긴 하는데 원래 티빙 오리지널 작품들은 공개 이후 TVN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아마도 어느 정도 편집 과정을 거친 이후에 방송을 타게 될 거 같기는 하다. 전혀  잔인한 소재라는 생각이 안 들긴 했는데 대사에 ㅅㅂ이 정말 많이 나오는 데다가 폭력 수위가 상당해서 아이들이 보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런데 재미있다.  아주 잘 만들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라는 생각은 사실 안 드는데 원초적인 재미를 제공해 준다. 특히 주인공 윤가민의 독특한 캐릭터가 주는 카타르시스가 상당하다. 중증외상센터에서 주지훈에게 거의 무매력을 느끼고 나서 이 드라마를 보니 황민현이 연기를 이렇게 잘했나 싶기도 하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황민현은 연기력이 좋다기 보다는 캐릭터에 찰떡인 느낌이기도 하다. 배우 자체가 윤가민 이라는 캐릭터와 잘 어울린다. 그런 시너지 효과도 절대 무시하지 못 한다. 마치 응답하라 1988에서 혜리와 덕선의 캐릭터가 거의 동일 인물인 것처럼 보인 것도 이와 비슷한 이치라고 하겠다.  개인적으로 황민현의 연기력이 아주 좋다고 보긴 어려우나 감독의 연출 스타일이 연기력을 커버해 주기에 크게 신경이 쓰이진 않는다. 뭐 막말로 황민현이 연기를 잘 한다는 생각은 잘 들지 않는 게 문제라면 문제인데 드라마가 워낙 호흡이 빠르고 거칠어서 크게 무리가 없다.  어찌 보면 연출이 모든 걸 보완해주는 구조다.  이장훈 감독의 연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