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팍의 드라마 리뷰
티빙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추천 스터디그룹 후기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를 보고 나서공교롭게도 둘 다 웹툰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다.
그러니
비교를 안 할 수가 없다.
재미 면에서만 본다면 스터디그룹의 압승이다.
다소 거친 느낌이 드는 작품이긴 하지만 이런 게 바로 오리지널의 맛이 아니겠나. 수위나 소재를 생각한다면 전파를 타기 힘들어 보이긴 하는데 원래 티빙 오리지널 작품들은 공개 이후 TVN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아마도 어느 정도 편집 과정을 거친 이후에 방송을 타게 될 거 같기는 하다.
전혀
잔인한 소재라는 생각이 안 들긴 했는데 대사에 ㅅㅂ이 정말 많이 나오는 데다가 폭력 수위가 상당해서 아이들이 보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런데 재미있다.
아주 잘 만들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라는 생각은 사실 안 드는데 원초적인 재미를 제공해 준다. 특히 주인공 윤가민의 독특한 캐릭터가 주는 카타르시스가 상당하다. 중증외상센터에서 주지훈에게 거의 무매력을 느끼고 나서 이 드라마를 보니 황민현이 연기를 이렇게 잘했나 싶기도 하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황민현은 연기력이 좋다기 보다는 캐릭터에 찰떡인 느낌이기도 하다. 배우 자체가 윤가민 이라는 캐릭터와 잘 어울린다. 그런 시너지 효과도 절대 무시하지 못 한다. 마치 응답하라 1988에서 혜리와 덕선의 캐릭터가 거의 동일 인물인 것처럼 보인 것도 이와 비슷한 이치라고 하겠다.
개인적으로 황민현의 연기력이 아주 좋다고 보긴 어려우나 감독의 연출 스타일이 연기력을 커버해 주기에 크게 신경이 쓰이진 않는다. 뭐 막말로 황민현이 연기를 잘 한다는 생각은 잘 들지 않는 게 문제라면 문제인데 드라마가 워낙 호흡이 빠르고 거칠어서 크게 무리가 없다.
어찌 보면 연출이 모든 걸 보완해주는 구조다.
이장훈 감독의 연출작인데 드라마 연출은 처음이라고 한다.
아무래도 영화를 연출하신 분이라 그런지 본인의 개성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이 정도로 개성이 강한 연출이라면 얼마든지 환영이다. 원작 웹툰을 안 봐서 원작이 어떠한 느낌인지 알 길은 없으나 드라마만 봐도 원작 웹툰이 무슨 느낌인지 감이 올 정도로 원작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신 감독이라는 생각도 든다.
다소 말이 안 되는 설정이고 배우들이 다 어린 터라 모두 다 연기를 잘 하지는 않는 드라마이지만 이 드라마는 감독의 대단한 연출로 먹고 들어가는 부분이 상당하다. 만화 원작인데다가 드라마 연출도 그래서 가벼워 보일 수도 있는데 그런 지점이 전혀 없다는 게 신기하다.
만화 원작 드라마임에도
균형 감각을 잘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감독의 역량이 드러난다.
그 중심에는 감독이 애정을 듬뿍 담아 그리는 주인공 윤가민이 있다.
윤가민은 전형적으로 머리는 안 좋은데 열심히 사는 인물이다.
공부에 대한 요령이 하나도 없으나 누구보다 열심이고 선생님의 모든 말씀을 다 필기하는 학생이다. 이보다 더 성실한 학생이 있나 싶을 정도로 공부에 모든 걸 걸었다. 윤가민이 하는 모든 행동이나 사고 방식은 모두 다 공부를 더 잘 하기 수단으로 기능한다. 한 마디로 그는 공부에 있어서 만큼은 그 누구보다 진심이다.
운동을 그 정도로 잘 하는 것도 다 공부를 잘 하기 위해서다.
누구보다 공부에 목숨을 걸었다.
하지만
누구보다 성적은 안 나온다. 공부를 거의 하지 않는 공고에 진학해서 대학 입학을 쉽게 하려는 의도였으나 그 안에서도 등수가 최하위권이다. 이 정도면 신기할 지경이다. 저렇게 열심히 하는데 성적이 안 나오는 건 도대체 무슨 일인가 싶기까지 하다.
기억을 조금만 떠올려보면
나도 학창시절에 윤가민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비슷한 친구를 본 기억이 난다. 지금은 연락도 안 하고 그 당시에도 아주 친하게 지낸 건 아니었으나 아직도 이름을 기억하는 거 보면 잔상이 많이 남았던 친구였다.
그 친구도 윤가민과 비슷하게 공부에 진심이었다.
윤가민과 다른 점이라면 윤가민만큼 머리가 아주 안 좋은 건 아니었다는 거다. 그래도 반에서 5등 안에 들었으며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전교에서 놀 정도는 되는 아이였다. 신기한 지점이라면 공부하는 시간이나 양은 전교 1등 못지 않은데 항상 전교 10등 안에는 들어가지 못 한다는 사실이었다.
누구보다 열심히 하고 내가 보기에는 잠자는 시간까지 줄여 가면서 공부를 하는 학생이었는데 성적은 생각만큼 나오지 않았고 이걸 본인도 무척이나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겠지만 한 번도 이야기해 본 적은 없어서 얼마나 부담이 컸는지는 잘 기억이 안 난다.
그 당시에는 저렇게 노력하는데 왜 성적이 안 나오는 걸까
라며 나 역시 의아하게 생각했었다.
하지만
어른이 되고 나서 알게 되었다.
어른들이 말하는 공부 머리는 단순히 노력과 시간이 아니라 실제로 지능 지수라는 걸 말이다. 머리가 좋은 사람은 한 번만 봐도 거의 모든 걸 암기하고 이해하지만 머리가 좋지 않은 사람은 같은 내용을 10번 그리고 20번 이상 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분명 존재한다. 나도 그렇게까지 머리가 좋은 편은 아니어서 이 말이 무슨 말인지 바로 이해할 수 있다.
과거
학교 안에서 머리가 너무 좋아서 선생님을 당황하게 만들 정도인 친구에게 너는 왜 영어 공부는 전혀 안 하고 매일 수학이나 과학만 하는데도 항상 영어 점수가 잘 나오는지 심심해서 물어본 기억이 난다. 그 친구는 수학과 물리가 너무 좋아서 매일 주말에는 대학생들도 어려워하는 문제들을 풀기로 유명한 친구였다.
그 친구가 이야기하기로는
영어 시험은 단어를 안 외우고 공부를 안 하고 지문만 읽어도 답이 보인다는 거였다. 나는 처음에는 그 친구의 말을 이해하기 어려웠으나 이 친구의 지능 지수를 생각해 보고는 바로 이해하게 되었다. 애초에 승부가 안 되는 거였다. 기본 출발선부터 다르다. 이 녀석은 5분만 봐도 다 외우는 걸 다른 사람은 10시간이 걸려도 외우기는 커녕 이해하기 조차 힘든 게 현실이다.
이렇게까지 머리가 좋은 사람을 어떻게 이기겠나.
아마 학창 시절의 그 열심히 하는 친구 역시 지금 생각해 보면 단순히 지능 지수가 높지 않았던 거라는 생각마저 든다. 그래도 그 친구는 참 착하고 성실했다. 아마 지금쯤 누구보다 열심히 잘 살고 있을 거라는 데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그래서 윤가민을 보면서 문득 그 친구가 떠올랐다.
정말이지 미워하기 힘든 캐릭터이고 마음 속으로부터 응원을 하게 된다. 특히 공부만 열심히 하는 게 아니라 공부를 하기 위해 연마한 체력이 워낙에 좋아서 싸움마저 완벽한 이 기이한 캐릭터를 어찌 사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이 만화같은 설정이 조금 황당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이해가 가는 건 윤가민이 극단적인 캐릭터이긴 하지만 현실에 아예 없는 인물은 아니라는 점에서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그래서
윤가민은 공고 안에서 스터디그룹을 모집해서 공부를 하려고 한다.
공고라는 게 원래 공부를 잘 하는 이미지는 아니지만 현실이 저렇게까지 처참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데 드라마 스터디그룹 안에 있는 캐릭터 중 현실에 발을 붙이는 인물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어느 인물이건 극단을 달린다.
그리고 그게 이 드라마의 매력으로 연결된다.
이게 웹툰에서는 괜찮을지 몰라도 드라마로 오면 결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감독이 연출을 워낙에 기가 막히게 해서 어색하지가 않다. 아예 만화같은 소재와 주인공을 다룰 거라면 기존의 드라마와는 연출의 결을 달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걸 감독은 깨닫게 해준다.
우리는 모두 안다.
윤가민이 스터디그룹을 모집하더라도 성적이 향상되지 않으리라는 걸 말이다. 원작 웹툰의 결말을 알 길은 없고 딱히 관심도 없지만 아마도 보다 더 많은 폭력 장면이 나올 테고 윤가민은 곤란한 상황에 연속적으로 처하게 될 게 확실하다.
상황은 다분히 폭력적인데 윤가민 만큼은 누구보다 순진하고 청량한 게 이 드라마의 반전 매력 포인트다. 그걸 감독이 굉장히 매력적으로 풀어 냈다.
그리고 그에 더해 학교가 배경이다 보니 새로운 젋은 얼굴들이 많이 보여서 좋다.
그나저나 아무리 20대 후반 배우가 학생 역할을 맡는다고는 해도 몇몇 학생 배우들은 대학생보다 더 나이가 들어 보인다. 고등학생 역할은 어느 정도 액면가를 고려해서 캐스팅을 하면 좋겠다. 우리 나라 배우 풀이 그렇게 좁은 건가 싶을 정도로 노안 배우들이 가득하다.
그런 사소한 점을 제외하면 정말 재미나게 감상했다.
폭력 수위가 조금 심각한 건 우려되지만 어차피 OTT 독점 공개라 크게 무리는 없어 보인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