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팍의 드라마 이야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추천 사나운 땅의 사람들 후기
드라마에 있어서 시의적절함이란 무엇인가
미국은 역사가 굉장히 짧은 나라 중 하나다.미국이 세계 최고의 강대국이 된 건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나는 드넓은 영토를 통일한 게 가장 크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하나다. 그래서 그런지 미국은 주마다 개성이 정말 대단하다. 승무원 일을 하면서 미국의 여러 도시들을 가보았는데 방문하던 도시마다 특징이 너무 달라서 영어를 쓰는 걸 제외하면 같은 나라로 보기 힘들 정도로 차이가 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전반적으로 화합도 잘 안 된다.
지금도 미국의 대선 투표 결과를 보면 지역에 따라 차이가 명확하다.
지금도 이러한데 통일이 제대로 되기 전 미국은 어떠했을까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말 그대로 혼란 그 자체였을 거라는 게 불보듯 뻔하다. 서부 영화가 나온 건 다 미국이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야만의 시대에 총기 소지까지 자유롭다면 약탈과 전쟁이 빈번하게 벌어진 건 필연적이다.
그런 세상에서 야수가 되어야 하는 건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그런 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 드라마 사나운 땅의 사람들 역시 필연적으로 잔인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생각보다 더 잔인하고 현실적이어서 놀라긴 했다.
역시나 기대 이상으로 잔인한 장면을 많이 보여주긴 하는데 이게 과장되었다거나 억지스럽다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는다. 미국의 초기 역사에 대해서 잘 모르는 내가 봐도 저 시대라면 충분히 저럴만하다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이니 말이다. 저 시대에 대화와 토론으로 무언가를 해결할 수 있었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라면 굉장히 순수한 사람이거나 집에서 한 발자국도 나가보지 않은 사람일 테다.
살인을 저지르고 누구 하나 죽여 땅에 묻어도 처벌을 받지 않는 시대였다 보니 사람을 죽여 놓고도 당당하며 그러다 보니 모두가 총을 들고 자신을 지킬 수 밖에 없는 시대였다. 그런 시대에 아들을 데리고 도망을 가는 어머니이자 여성이 온전하게 그리고 무사하게 탈출을 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미션이다.
탈출극만큼 재미있는 게 없고 그 배경이 잔인하다면 재미는 배가된다.
이 드라마 역시 그러하며 아무 생각없이 보기에는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완성도도 괜찮은 편이고 중간 중간 좀 늘어지는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정주행하는 데에는 크게 무리가 없다. 다만, 감정 이입을 할 만한 인물이 크게 많지가 않고 주인공들을 너무 현실적으로 그리고 사실적으로 묘사하다 보니 시대성은 획득하였으나 캐릭터들의 매력은 끌어내지 못했다.
그래도 핵심 인물이라면 어느 정도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애초에 과도하게 화장까지 해서 나올 필요까지는 없으나 그래도 얼굴은 제대로 보여야 하는 거 아닌가. 그러다 보니 누가 누구인지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게다가 주요 인물도 많이 나오는 편이라 주인공이 누구인지도 헷갈릴 지경이다.
드라마 자체의 완성도가 나쁘지는 않은 편인데 캐릭터 중에서 매력적인 인물이 부족해도 너무나 부족하다. 탈출극이 재미가 있으려면 탈출하는 즉 도망치는 사람이 매력적이어서 시청자들이 여기에 감정 이입을 해야만 가능하다.
내가 응원하는 주인공이 제발 악당들에게 잡히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들어야 하는 거다.
그렇다고 도망자가 무조건 선하거나 착할 필요는 없다.
애초에 사람을 죽이고 도망가는 데에는 이유가 있기도 하지만 사람을 죽였다는 자체가 용서받기 힘든 범죄이기에 그러하다. 선할 필요는 없지만 사람을 죽였지만 응원하고픈 마음이 들어야 한다. 그런데 이 드라마에 나오는 아들 딸린 어머니는 그런 생각이 들게 만들지는 않는다. 그러다 보니 우리는 이 여자가 잡히는 걸 원하는 건지 아닌지 헷갈린다.
게다가 어머니를 도와주는 거친 남성 역시 별달리 매력을 모르겠다.
하나 하나의 이야기들은 매력적이고 흥미로운데 드라마를 멱살 잡고 이끌고 갈 인물이 부족하다. 그러다 보니 시청자 역시 길을 잃고 방향성을 잃는다. 순간 내가 다큐멘터리를 보고 있는 것인지 착각이 들만큼 그 누구에게도 감정 이입을 하기 힘들다.
그 순간 드라마는 실패한다.
재미면에서 특히 그러하다.
게다가 요즘 시대에 이런 극 사실주의 서부극 같은 영화를 누가 보나. 솔직히 말해서 미국 사람들도 이런 후지고 오래된 이야기는 별로 궁금하지 않을 거 같다.
갑자기 톰 크루즈 주연의 영화 파 앤드 어웨이(1992) 같은 작품이 다시 한 번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그 시대를 그대로 재현하는 건 우리 입장에서는 크게 매력이 없다. 험난한 시대였으나 신나고 재미있는 금광 발굴 이야기가 그리워지는 건 그래서다. 그 시절의 현실보다는 낭만을 그리워하는 사람이 더 많기에 그러하다.
우리가 그 시대의 사실성을 알아서 뭐 하겠나.
이야기는 신나고 재미있으면 그만이다.
그런 면에서 이 드라마는 완성도 면에서는 성공했으나 재미 면에서는 실패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보는 사람마다 평가와 생각이 다르긴 하겠지만 적어도 내 입장에서는 크게 매력을 찾기 어려운 작품이었다.
그래도 나름 볼만은 하고 잔인한 부분이 있어서 취향이 맞다면 재미있게 볼 수는 있을 거다.
하지만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