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일본 드라마 이별 그 뒤에도 후기

 지나치게 뻔한 드라마

이 정도면 심하지 않은가.

멜로 드라마가 아주 새로운 이야기를 할 필요성도 의무도 없다고는 생각하지만 이 정도로 뻔하게 흘러가는 것도 어느 정도 문제가 있어 보인다. 이 좋은 배우들을 데려다가 이 정도 밖에 못 만드는 것도 놀랍지만 어느 정도 넷플릭스 대자본의 지원 사격을 받아 놓고 이렇게나 지루하고 뻔한 이야기를 하는 것 역시 다른 의미로 놀랍다. 

하와이 로케이션 촬영까지 가서는 딱히 아름다운 풍경을 건지지도 못한 건 물론 왜 굳이 하와이여야 했느냐에 대한 질문에도 명확하게 답을 해주지 않는다. 그저 넷플릭스에서 돈 준다고 하니 하와이 한 번 가볼까 정도로 로케이션을 간 게 아닐까 의심할 뿐이다. 

일본 사람들이 하와이 좋아하는 거야 너도 알고 나도 알고 지나가는 개도 알 정도이지만 드라마에서 왜 하와이에 가는지에 대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나. 게다가 눈 내리는 지역에서 폭죽 이벤트라니 보면서도 어이가 없기는 했다. 총소리에도 저런 눈사태가 날 수 있다는 건 관련 영화만 봐도 알 수 있는 사실인데 저걸 몰랐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간다. 

전 남자 친구를 무조건 죽이려다 보니 나온 아이디어 같은데 그 구린 아이디어에 기가 찰 노릇이었다. 

특히 몇몇 장면들은 너무 유치한 나머지 눈 뜨고 봐주기 어려울 정도였다. 특히 하와이 공항에서 피아노 연주를 하면서 사람들이 몰려 들며 축제 분위기가 되는 게 가장 황당하고 어이가 없었다. 아무리 드라마가 판타지라고는 해도 이런 작위적인 설정을 요즘 시대에도 보다니. 

어이가 없고 황당할 정도다. 

전 남자 친구는 죽어 버리고 남자 친구의 심장을 이식받은 새로운 남자는 갑자기 피아노 연주를 기가 막히게 하며 평소에 마시지도 않던 커피까지 마실 수 있게 된다. 아무래도 장기 이식이 그러한 미비한 효과를 낸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는 하지만 드라마는 판타지를 섞어 더 멀리 나간다. 그리고 이게 개연성이 없다 보니 납득하기가 힘들다. 

어느 정도 현실성에 기반한 이야기를 해야지 이 정도로 막 나가면 시청자 입장에서는 따라가기 힘들다. 게다가 커피 원두 회사에서 일하는 여주인공이 갑자기 하와이에 다시 가게 되는 설정 역시 무리수라는 생각 밖에 들지 않는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하와이 공항에서 같은 피아노 곡을 연주하는 남자의 소리를 듣게 되는 설정이라니. 식상해서 눈물이 나올 정도다. 

게으른 각본에 게으른 연출 아니던가. 

그나마 아리무라 카스미와 사카구치 켄타로의 존재감이 빛을 발하기에 어느 정도는 참고 보긴 했다. 특히 아리무라 카스미의 연기력과 존재감은 감탄할 만하다. 연기도 잘 하고 존재감도 좋은 배우라 눈여겨 보던 일본 배우 중 한 명인데 이 부실하고 힘없는 각본 안에서도 제대로 빛을 발한다. 아리무라 카스미를 좋아한다면 그래도 참고 보실 만하다. 

하지만 배우들의 존재감과 돈 좀 들인 화면을 제외하면 장점이라고는 돋보기로 봐도 찾기 어려운 드라마다. 너무 뻔하게 흘러 가고 연출이나 구성 그리고 배경도 작위적이다 보니 도저히 감정 이입을 하기가 어렵다. 

억지 감동과 억지 설정이라는 건 이 드라마를 두고 하는 말이다. 

평점 

2/5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일본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 후기

타카노 만큼이나 무능한 드라마 인기 만화 원작의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가 2화까지 넷플릭스에서 공개 되었다.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로 1화만 보자 싶었는데 47분 내외의 1화도 다 보기가 곤혹스러웠을 정도로 재미를 찾기가 어려웠다. 보면서 만화 원작인가 싶었는데 역시나 만화 원작이었다. 일본은 만화를 드라마로 옮기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만화에 충실하다가 드라마 자체의 완성도를 말아 먹는 경우가 정말 많은데 이게 방송사나 PD의 문제라기 보다는 원작자의 입김이 강한 일본 만화 업계의 문제라는 생각도 든다.  일본은 원작자의 힘이 강력한 나라 중 하나이기에 만화의 내용을 하나라도 제외하거나 변경하려고 하는 시도 자체가 거의 불가능해서 우리 나라의 영화 감독 봉준호 조차 일본 유명 만화가의 작품을 영화화하는 걸 포기한 전적이 있을 정도인데 영상과 만화는 다르다는 점을 원작자들이 이해해줄 리가 만무하고 어느 정도 표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타협하기가 불가능하기에 지금처럼 이도저도 아닌 작품이 나오게 된 게 아닐까 혼자 상상만 해본다. 정확한 건 내부자들만 알 수 있겠지만 말이다.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는 시종일관 만화 같은 연출을 보여준다. 캐릭터에 대한 묘사와 대사 그리고 연출까지 만화를 그대로 옮긴 듯한 인상이다. 안 좋은 점이라면 이게 긍정적인 효과를 전혀 불러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캐릭터는 단순하고 이야기 전개도 유아적인 수준이기에 차라리 20분 내외의 시트콤처럼 가볍게 저예산으로 만들었어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별 거 없는 이야기를 47분 분량으로 만들다 보니 이야기는 늘어지고 캐릭터의 매력은 사라지고 드라마의 재미도 가라앉는다.  애초에 완성도가 높은 일본 드라마를 찾아보기 힘든 요즘인데 일본 드라마 중에서 볼만한 작품은 방송사 작품이 아니라 넷플릭스나 디즈니 플러스 작품이 오히려 많기는 해서 그 괴리가 너무 크기에 이 정도면 방송사 드라마 작품에 문제가 있는 거 아닌가 라는 생각까지 들 정도다. 최근에 보면서 만...

일본 드라마 사자의 은신처 후기

다소 뻔하지만 볼만한 가족 드라마 일본 드라마를 즐겨 보지는 않으나 좋아하는 배우가 나오거나 극본이 좋으면 보는 편인데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간니발에서 좋은 연기를 보여준 야기라 유야가 주연을 맡은 금요 드라마 사자의 은신처가 넷플릭스에 올라와 있길래 호기심에 감상을 해 보았는데 주말 가족 드라마여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스토리 자체가 좀 평이한 편이어서 크게 만족하지는 못 했다고 할 수 있다.  아직 1화 정도만이 공개 되었는데 무언가 전형적인 가족 드라마같은 느낌이 드는 데다가 이야기가 전개 방식도 조금 식상하긴 해서 크게 재미를 느끼지는 못 했다. 거의 집안의 가장 역할을 하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동생 미치토를 돌보다시피하는 히로토가 결국 라이온을 경찰에 맡기지 못할 거라는 걸 누구나 알 수 있는 부분인데 갑자기 횡단보도에서 포효하며 달려가는 모습은 너무 오버스러워서 헛웃음이 나올 정도였다. 유독 일본에서 대안 가족 소재로 드라마나 영화가 많이 나오는 느낌인데 전통적인 가족이 해체 되는 일본 사회의 현실을 제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일본은 우리 나라보다 출산율이 훨씬 더디게 무너지고 있는데 문제는 출산율 자체가 아니라 아이를 낳으면 안 되는 환경에서 아이를 낳은 부모들이 아이들을 학대하거나 방치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 나라도 정부나 지방 자치 기관에서 제대로 조사를 하지 않아서 그렇지 생각보다 방치되고 학대 당하는 아이들이 분명히 많을 거라고 생각 한다. 보통 아이들은 목소리를 내기가 힘드니 결국 죽거나 심각한 상태가 되어서야 세상에 알려지고는 하는데 그런 면에서 보자면 우리 나라에서 언론이나 영상 매체에서 가출 팸들의 이야기를 다루지 않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할 만하다.  투표권도 없고 나이도 어려서 존재감이 없는 가출 청소년들에 대해 다룰 때에 항상 범죄 관련 이야기로 들어올 수 밖에 없는데 생각해 보면 이런 청소년들은 피해자가 되거나 범죄에 뛰어 들어 가해자가 되거나 둘 중 하나의 길 밖에 남아...

티빙 드라마 스터디그룹 후기

 픽팍의 드라마 리뷰  티빙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추천 스터디그룹 후기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를 보고 나서  바로 시작하게 된 티빙 오리지널 드라마 스터디그룹. 공교롭게도 둘 다 웹툰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다.  그러니  비교를 안 할 수가 없다. 재미 면에서만 본다면 스터디그룹의 압승이다.  다소 거친 느낌이 드는 작품이긴 하지만 이런 게 바로 오리지널의 맛이 아니겠나. 수위나 소재를 생각한다면 전파를 타기 힘들어 보이긴 하는데 원래 티빙 오리지널 작품들은 공개 이후 TVN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아마도 어느 정도 편집 과정을 거친 이후에 방송을 타게 될 거 같기는 하다. 전혀  잔인한 소재라는 생각이 안 들긴 했는데 대사에 ㅅㅂ이 정말 많이 나오는 데다가 폭력 수위가 상당해서 아이들이 보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런데 재미있다.  아주 잘 만들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라는 생각은 사실 안 드는데 원초적인 재미를 제공해 준다. 특히 주인공 윤가민의 독특한 캐릭터가 주는 카타르시스가 상당하다. 중증외상센터에서 주지훈에게 거의 무매력을 느끼고 나서 이 드라마를 보니 황민현이 연기를 이렇게 잘했나 싶기도 하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황민현은 연기력이 좋다기 보다는 캐릭터에 찰떡인 느낌이기도 하다. 배우 자체가 윤가민 이라는 캐릭터와 잘 어울린다. 그런 시너지 효과도 절대 무시하지 못 한다. 마치 응답하라 1988에서 혜리와 덕선의 캐릭터가 거의 동일 인물인 것처럼 보인 것도 이와 비슷한 이치라고 하겠다.  개인적으로 황민현의 연기력이 아주 좋다고 보긴 어려우나 감독의 연출 스타일이 연기력을 커버해 주기에 크게 신경이 쓰이진 않는다. 뭐 막말로 황민현이 연기를 잘 한다는 생각은 잘 들지 않는 게 문제라면 문제인데 드라마가 워낙 호흡이 빠르고 거칠어서 크게 무리가 없다.  어찌 보면 연출이 모든 걸 보완해주는 구조다.  이장훈 감독의 연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