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애플 드라마 #나라도그랬다 후기

의외로 쫄깃한 전개

소리소문없이 공개가 된 드라마 나라도그랬다는 사적제재를 다루는 스페인 드라마라고 할 수 있는데 기대를 전혀 안 하고 보기 시작해서 그런지 생각보다는 괜찮았고 다음 이야기가 무척이나 궁금해진 터라 매주 수요일마다 챙겨보게 될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로 마음에 들었다. 

스페인 드라마가 종종 나쁘지 않은 결과물을 제공해줄 때가 있는데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긴 하지만 멕시코나 아르헨티나같은 나라들의 작품보다 확실히 스페인 드라마들은 완성도 면에서 비교불가일 정도로 우위에 있다. 

우리 나라나 다른 나라나 사적 제재 관련으로 해서 드라마나 영화가 자주 나오고 있는데 아무래도 사회 공적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어느 나라나 존재하고 특히나 요즘은 법적인 제도가 돈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경우가 너무나 많기에 시청자들 역시 이런 사적 제재에 더 열광하는 건지도 모를 일이다.

우리 나라도 아마 조만간 전세 사기 가해자들을 무자비하게 살해하는 영화나 드라마가 나온다고 해도 놀랍지 않을텐데 현재 법적인 시스템이 새로운 범죄를 시도하는 범죄자들을 처단하기에는 미약한 점이 분명히 존재하고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게 사적 제재 소재의 작품이기에 앞으로도 계속될 트렌드처럼 보여진다.

드라마 나라도그랬다가 조금 다른 점이라면 사람들은 자경단이라고 부를지 모르지만 사적 제재를 한 인물이 이를 전혀 의도하지 않았다는 지점이다. 그보다는 오히려 그로 인해 도움을 받은 사람들이 이 사람을 자경단으로 떠받들고 있는 모양새인데 사람을 죽였음에도 그것도 세 명이나 살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버스 안에 있던 피해자들은 이 의문의 남성을 심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무언가 비밀이 가득한 인물이기에 앞으로 이 남자의 존재감이 더 커질 예정이긴 한데 애초에 대중들은 자신들이 듣고 싶어하는 이야기만 듣기 때문에 의문의 남자와 경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버스 승객들의 관계성이 드라마를 보는 내내 적나라하게 드러날 듯하고 그게 이 드라마의 재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꽤나 현실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고 나는 보면서 도대체 버스 승객을 왜 강탈하는 건지 이해가 안 갔는데 스마트폰을 열고 은행 계좌에 있는 돈을 다 이체하는 거 보면서 잠시 잠깐 소름이 돋기도 했다. 요즘은 스마트폰 안에 개인 정보는 물론 나의 모든 금융 정보도 들어가 있는데 드라마 보고 나서는 이게 과연 맞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누군가 칼을 들고 나에게 은행 어플을 열고 그 안에 들어 있는 돈을 다 이체하라고 한다면 꼼짝없이 당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 은행 어플은 어느 정도 이체 한도라는 것도 존재하고 있기는 한데 드라마 보면서 일일 이체 한도를 최소한으로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출금 한도도 100만원이 아닌 70만원 정도인데 스마트폰 안에 모든 정보가 들어가 있는 게 과연 편리하긴 하지만 안전한 걸까라는 의문을 강하게 품게 되었다.

조금 귀찮긴 하더라도 과거의 방식으로 돌아가는 것도 보다 더 안전하게 내 자산을 지키는 길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드는데 과연 이제 와서 과거로 회귀하는 게 가능할지는 의문이다. 드라마도 재미있긴 하였으나 신박한 범죄 방법으로 인해 다시 한 번 은행 어플을 점검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어차피 요즘은 온라인 쇼핑도 과거만큼 많이 하지도 않으니 과도하게 스마트폰 안에 모든 정보를 집어 넣는 일을 멈춰야 겠다는 생각마저 들었다.

총평

의외로 재미있다.

평점 

4/5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일본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 후기

타카노 만큼이나 무능한 드라마 인기 만화 원작의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가 2화까지 넷플릭스에서 공개 되었다.  정보가 전혀 없는 상태로 1화만 보자 싶었는데 47분 내외의 1화도 다 보기가 곤혹스러웠을 정도로 재미를 찾기가 어려웠다. 보면서 만화 원작인가 싶었는데 역시나 만화 원작이었다. 일본은 만화를 드라마로 옮기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만화에 충실하다가 드라마 자체의 완성도를 말아 먹는 경우가 정말 많은데 이게 방송사나 PD의 문제라기 보다는 원작자의 입김이 강한 일본 만화 업계의 문제라는 생각도 든다.  일본은 원작자의 힘이 강력한 나라 중 하나이기에 만화의 내용을 하나라도 제외하거나 변경하려고 하는 시도 자체가 거의 불가능해서 우리 나라의 영화 감독 봉준호 조차 일본 유명 만화가의 작품을 영화화하는 걸 포기한 전적이 있을 정도인데 영상과 만화는 다르다는 점을 원작자들이 이해해줄 리가 만무하고 어느 정도 표현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타협하기가 불가능하기에 지금처럼 이도저도 아닌 작품이 나오게 된 게 아닐까 혼자 상상만 해본다. 정확한 건 내부자들만 알 수 있겠지만 말이다. 드라마 무능한 타카노는 시종일관 만화 같은 연출을 보여준다. 캐릭터에 대한 묘사와 대사 그리고 연출까지 만화를 그대로 옮긴 듯한 인상이다. 안 좋은 점이라면 이게 긍정적인 효과를 전혀 불러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캐릭터는 단순하고 이야기 전개도 유아적인 수준이기에 차라리 20분 내외의 시트콤처럼 가볍게 저예산으로 만들었어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별 거 없는 이야기를 47분 분량으로 만들다 보니 이야기는 늘어지고 캐릭터의 매력은 사라지고 드라마의 재미도 가라앉는다.  애초에 완성도가 높은 일본 드라마를 찾아보기 힘든 요즘인데 일본 드라마 중에서 볼만한 작품은 방송사 작품이 아니라 넷플릭스나 디즈니 플러스 작품이 오히려 많기는 해서 그 괴리가 너무 크기에 이 정도면 방송사 드라마 작품에 문제가 있는 거 아닌가 라는 생각까지 들 정도다. 최근에 보면서 만...

일본 드라마 사자의 은신처 후기

다소 뻔하지만 볼만한 가족 드라마 일본 드라마를 즐겨 보지는 않으나 좋아하는 배우가 나오거나 극본이 좋으면 보는 편인데 디즈니 플러스 드라마 간니발에서 좋은 연기를 보여준 야기라 유야가 주연을 맡은 금요 드라마 사자의 은신처가 넷플릭스에 올라와 있길래 호기심에 감상을 해 보았는데 주말 가족 드라마여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스토리 자체가 좀 평이한 편이어서 크게 만족하지는 못 했다고 할 수 있다.  아직 1화 정도만이 공개 되었는데 무언가 전형적인 가족 드라마같은 느낌이 드는 데다가 이야기가 전개 방식도 조금 식상하긴 해서 크게 재미를 느끼지는 못 했다. 거의 집안의 가장 역할을 하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동생 미치토를 돌보다시피하는 히로토가 결국 라이온을 경찰에 맡기지 못할 거라는 걸 누구나 알 수 있는 부분인데 갑자기 횡단보도에서 포효하며 달려가는 모습은 너무 오버스러워서 헛웃음이 나올 정도였다. 유독 일본에서 대안 가족 소재로 드라마나 영화가 많이 나오는 느낌인데 전통적인 가족이 해체 되는 일본 사회의 현실을 제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래도 일본은 우리 나라보다 출산율이 훨씬 더디게 무너지고 있는데 문제는 출산율 자체가 아니라 아이를 낳으면 안 되는 환경에서 아이를 낳은 부모들이 아이들을 학대하거나 방치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 나라도 정부나 지방 자치 기관에서 제대로 조사를 하지 않아서 그렇지 생각보다 방치되고 학대 당하는 아이들이 분명히 많을 거라고 생각 한다. 보통 아이들은 목소리를 내기가 힘드니 결국 죽거나 심각한 상태가 되어서야 세상에 알려지고는 하는데 그런 면에서 보자면 우리 나라에서 언론이나 영상 매체에서 가출 팸들의 이야기를 다루지 않는 것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할 만하다.  투표권도 없고 나이도 어려서 존재감이 없는 가출 청소년들에 대해 다룰 때에 항상 범죄 관련 이야기로 들어올 수 밖에 없는데 생각해 보면 이런 청소년들은 피해자가 되거나 범죄에 뛰어 들어 가해자가 되거나 둘 중 하나의 길 밖에 남아...

티빙 드라마 스터디그룹 후기

 픽팍의 드라마 리뷰  티빙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추천 스터디그룹 후기  넷플릭스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를 보고 나서  바로 시작하게 된 티빙 오리지널 드라마 스터디그룹. 공교롭게도 둘 다 웹툰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다.  그러니  비교를 안 할 수가 없다. 재미 면에서만 본다면 스터디그룹의 압승이다.  다소 거친 느낌이 드는 작품이긴 하지만 이런 게 바로 오리지널의 맛이 아니겠나. 수위나 소재를 생각한다면 전파를 타기 힘들어 보이긴 하는데 원래 티빙 오리지널 작품들은 공개 이후 TVN에서 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아마도 어느 정도 편집 과정을 거친 이후에 방송을 타게 될 거 같기는 하다. 전혀  잔인한 소재라는 생각이 안 들긴 했는데 대사에 ㅅㅂ이 정말 많이 나오는 데다가 폭력 수위가 상당해서 아이들이 보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런데 재미있다.  아주 잘 만들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라는 생각은 사실 안 드는데 원초적인 재미를 제공해 준다. 특히 주인공 윤가민의 독특한 캐릭터가 주는 카타르시스가 상당하다. 중증외상센터에서 주지훈에게 거의 무매력을 느끼고 나서 이 드라마를 보니 황민현이 연기를 이렇게 잘했나 싶기도 하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황민현은 연기력이 좋다기 보다는 캐릭터에 찰떡인 느낌이기도 하다. 배우 자체가 윤가민 이라는 캐릭터와 잘 어울린다. 그런 시너지 효과도 절대 무시하지 못 한다. 마치 응답하라 1988에서 혜리와 덕선의 캐릭터가 거의 동일 인물인 것처럼 보인 것도 이와 비슷한 이치라고 하겠다.  개인적으로 황민현의 연기력이 아주 좋다고 보긴 어려우나 감독의 연출 스타일이 연기력을 커버해 주기에 크게 신경이 쓰이진 않는다. 뭐 막말로 황민현이 연기를 잘 한다는 생각은 잘 들지 않는 게 문제라면 문제인데 드라마가 워낙 호흡이 빠르고 거칠어서 크게 무리가 없다.  어찌 보면 연출이 모든 걸 보완해주는 구조다.  이장훈 감독의 연출작...